생계형 투자

미국상장 ETF 어떻하나.. 배당이 줄어서

억으로 2025. 2. 8. 10:04
728x90
반응형
SMALL

한국에 상장된 tiger 미국 s&p500 etf가 배당금이 줄어든 이유는?


TIGER 미국 S&P500 ETF의 배당금이 감소한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.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있습니다:
1. 기초 지수 구성 종목의 배당 정책 변화: TIGER 미국 S&P500 ETF는 S&P 500 지수를 추종하며, 이 지수는 미국 상위 500개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이들 기업의 배당 정책 변화, 즉 배당금 축소나 배당 중단 등이 ETF의 배당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2. 환율 변동: 이 ETF는 환헤지를 하지 않기 때문에 원/달러 환율 변동에 따라 배당금의 원화 환산 금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달러 대비 원화 가치가 상승하면 동일한 달러 배당금이라도 원화로 환산 시 금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.
3. ETF 운용상의 비용 증가: ETF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이 증가하면, 투자자들에게 지급되는 배당금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TIGER 미국 S&P500 ETF의 배당금이 감소할 수 있으며,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수를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국내에서 낸 세금 15%가 문제가 있다고 하는데?

TIGER 미국 S&P500 ETF의 배당금 감소와 관련하여 **국내 원천징수세(15%)**가 문제가 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
1. 배당세 이중과세 문제
• 미국 주식에서 발생하는 배당소득에는 미국에서 15%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.
• 그런데 한국에서 상장된 미국 ETF(예: TIGER 미국 S&P500 ETF)는 추가로 국내에서도 15%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.
• 결국 투자자는 배당금의 약 27.75%(미국세 15% + 한국세 15% 중복과세) 수준을 세금으로 내야 하는 셈입니다.

2. 직접 투자와 비교한 불리함
• 만약 개인이 직접 **미국 증시에 상장된 S&P500 ETF(SPY, VOO 등)**를 매수하면 미국 배당세 15%만 내고 끝입니다.
• 하지만 한국에서 상장된 TIGER 미국 S&P500 ETF를 사면 미국 15% + 한국 15% = 총 27.75%의 세금을 부담해야 합니다.
• 즉, 동일한 배당금을 받더라도 국내 ETF는 세금 때문에 실제 수령액이 더 적어지는 불이익이 발생합니다.

3. 세금 부담 증가로 배당금 감소
• 과거에는 국내에서 부과되는 15%의 세금이 배당금 지급 전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,
최근 들어 국내 세금 부과 방식이 변경되면서 배당금 지급액이 줄어들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
• 배당금을 지급하기 전에 원천징수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면, 실제 투자자에게 돌아가는 배당금이 줄어들게 됩니다.

결론

현재 TIGER 미국 S&P500 ETF뿐만 아니라 국내 상장된 해외 ETF들은 이중과세 문제로 인해 배당금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문제가 있습니다.
이를 피하려면 직접 미국 증시에 상장된 ETF를 매수하는 방법을 고려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.


다른 ETF의 문제점은?


최근 국내 상장된 해외 주식형 ETF들의 배당금이 감소한 사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국 나스닥100 ETF의 배당금이 급감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.  

이러한 배당금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해외 ETF 배당소득에 대한 과세 방식의 변경입니다. 2025년부터 해외 ETF의 배당소득에 대해 미국에서 15%의 세금을 원천징수한 후, 국내에서 추가로 15%의 배당소득세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.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배당소득에 대해 총 27.75%의 세금을 부담하게 되어, 실제 수령하는 배당금이 감소하게 됩니다.  

또한, 토탈 리턴(TR)형 ETF에 대한 규제 강화도 배당금 감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. TR형 ETF는 배당금을 자동으로 재투자하여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상품이었으나, 최근 금융당국의 규제로 인해 이러한 구조의 ETF 운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. 이로 인해 TR형 ETF의 배당금 지급 방식이 변경되거나 배당금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.  

이러한 변화로 인해 국내 상장된 해외 주식형 ETF의 배당금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투자자들은 이러한 세제 및 규제 변화를 고려하여 투자 전략을 재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추가로, 절세계좌에서의 해외 ETF 배당금 이중과세 문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https://youtu.be/Lm9CZS22MkA?si=SwxG3S8vJcvPBZ9M

출처 : 리치노마드

반응형
LIST